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이타마현 제5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의 폐지된 선거구에 대한 내용은 사이타마현 제5구(중선거구) 문서
사이타마현 제5구(중선거구)번 문단을
사이타마현 제5구(중선거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기타칸토 지방 국회의원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 중의원 의원 ]

이바라키 1구이바라키 2구이바라키 3구이바라키 4구이바라키 5구
후쿠시마 노부유키누카가 후쿠시로하나시 야스히로가지야마 히로시아사노 사토시
이바라키 6구이바라키 7구도치기 1구도치기 2구도치기 3구
구니미쓰 아야노나가오카 게이코후나다 하지메후쿠다 아키오야나 가즈오
도치기 4구도치기 5구군마 1구군마 2구군마 3구
사토 쓰토무모테기 도시미쓰나카소네 야스타카이노 도시로사사가와 히로요시
군마 4구군마 5구사이타마 1구사이타마 2구사이타마 3구
후쿠다 다쓰오오부치 유코무라이 히데키신도 요시타카기카와다 히토시
사이타마 4구사이타마 5구사이타마 6구사이타마 7구사이타마 8구
호사카 야스시에다노 유키오오시마 아쓰시나카노 히데유키시바야마 마사히코
사이타마 9구사이타마 10구사이타마 11구사이타마 12구사이타마 13구
오쓰카 다쿠야마구치 스스무고이즈미 류지모리타 도시카즈쓰치야 시나코
사이타마 14구사이타마 15구사이타마 16구
미쓰바야시 히로미다나카 료세이공석1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오미 아사코후지오카 다카오노나카 아쓰시이시이 게이이치마키하라 히데키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나카무라 기시로사와다 료다도코로 요시노리고미야마 야스코시오카와 데쓰야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이시카와 아키마사고시미즈 게이이치이가라시 기요시사카모토 유노스케나카네 가즈유키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
다카하시 히데아키스즈키 요시히로아오야마 야마토후쿠시게 다카히로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사이타마현 제5구
埼玉県第5区
||
파일:shuinsen_Saitama5.svg
선거인 수393,216명 (2022)
상위 도도부현사이타마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이전 선거구[1](구) 사이타마현 제5구
국회의원

에다노 유키오




1. 개요[편집]


사이타마현의 옛 오미야시 지역 대부분과 옛 요노시 지역[2] 전체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제는 니시구, 키타구, 오미야구, 주오구를 포함하는 지역이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전 내각관방장관이자 전 입헌민주당 대표인 에다노 유키오 의원.


2. 상세[편집]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가 위치한 사이타마 신도심 전체가 이 선거구에 속한다.

이 선거구의 특징은 6구와 함께 사이타마현의 15개 중의원 선거구들 중 자유민주당 지지도가 가장 낮은 선거구라는 점이다. 아무래도 지역구 국회의원이 자민당의 대척점에 있는 제1야당의 당수였다는 점이 영향을 미치는 듯하다.

자유민주당에서는 2005년 제 44회 총선부터 6번 연속으로 변호사 출신인 마키하라 히데키 후보를 내세웠다. 6번 모두 에다노 유키오에게 패배했으나, 6번 중 5번이나 석패율로 당선되어 현재는 4선 의원이다. 자민당이 3번 연속 석패율로 당선되는 것을 막을거라는 설이 있어서, 정치적 미래가 약간 불투명했다.

하지만 2021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때 다시 지역구에서 패배했지만, 에다노와의 격차를 2%까지 줄이면서 정치적 미래가 훨씬 밝아졌다. 중진 의원인 에다노에 대한 피로감때문에 접전 승부가 펼쳐졌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5구
오미야시, 요노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후쿠나가 노부히코63,120표1위


30.89%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가네코 젠지로54,032표2위


26.44%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에다노 유키오51,425표3위


25.17%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후지와라 유키로33,643표4위


16.41%낙선
파일:덕주회.png아베 마사유키2,127표5위

자유연합

1.04%낙선
유효표 수204,347표투표율
51.49%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5구
오미야시, 요노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에다노 유키오106,711표1위


45.5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후쿠나가 노부히코86,179표2위


36.7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후지와라 유키로34,192표3위


14.58%낙선
파일:덕주회.png아이다 치와7,369표4위

자유연합

3.14%낙선
유효표 수234,451표투표율
56.66%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5구
사이타마시 니시구, 키타구, 주오구, 오미야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에다노 유키오95,626표1위


56.4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카하시 히데아키60,410표2위


35.6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마츠시타 유13,493표3위


7.96%낙선
유효표 수169,529표투표율
53.04%
선거인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5구
사이타마시 니시구, 키타구, 주오구, 오미야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에다노 유키오103,014표1위


48.68%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키하라 히데키91,472표2위
43.22%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마츠시타 유17,140표3위
8.10%낙선
유효표 수211,626표투표율
64.97%
선거인 수331,390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5구
사이타마시 니시구, 키타구, 주오구, 오미야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에다노 유키오130,920표1위
59.1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키하라 히데키85,139표2위
[3]38.47%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사사키 마사코5,274표3위
2.38%낙선
유효표 수221,333표투표율
66.00%
선거인 수342,355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5구
사이타마시 니시구, 키타구, 오미야구, 주오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에다노 유키오93,585표1위
[4]45.37%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키하라 히데키84,120표2위
[5]40.79%비례당선
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후지시마 도시히사15,434표3위
[6]7.4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이시 유타카13,109표4위
6.36%낙선
유효표 수206,248표투표율
59.87%
선거인 수352,329인

민주당중의원 선거구 300석 가운데 고작 27석밖에 획득하지 못하는 역대급 참패를 거뒀다. 그래도 에다노 유키오 의원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내각관방장관으로써 취침도 못하고 계속 브리핑을 하는 강행군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유명인사가 되었고, 덕분에 5%차 접전이었지만 지역구를 지켰다.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5구
사이타마시 니시구, 키타구, 오미야구, 주오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에다노 유키오90,030표1위
46.09%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키하라 히데키86,636표2위
[7]44.36%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모토 유코18,654표3위
9.55%낙선
유효표 수195,320표투표율
55.54%
선거인 수358,127인

선거 유세를 하는 에다노 유키오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5구
사이타마시 니시구, 키타구, 오미야구, 미누마구 일부,
주오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에다노 유키오119,091표1위
57.4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키하라 히데키77,023표2위
[8]37.12%비례당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다카키 히데후미11,379표3위
[9]5.48%낙선
유효표 수207,493표투표율
54.76%
선거인 수382,565인

지역구 현역이자 입헌민주당 대표 에다노 유키오 후보를 노리고 희망의 당이 독자 후보를 출마시키면서 야권 분열이 일어나 자민당이 어부지리로 탈환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일부 있었으나, 지역구 관리를 워낙에 잘해놓은데다가, 일본 공산당이 후보를 내지 않아 자연스럽게 단일화가 이루어진 에다노 후보였기에 57.4%의 득표율로 여유있게 자민당 마키하라 후보를 따돌리고 당선되었다.

거기에 지난 총선에서는 2%p 차이로 간신히 지역구를 수성했지만 이번에는 과거 민주당이 압승했던 시절만큼의 득표율을 회복했다.

당선 확정 후 연설하는 에다노 유키오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5구
사이타마시 니시구, 키타구, 오미야구, 미누마구 일부,
주오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에다노 유키오
(枝野幸男)
113,6151위
51.38%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키하라 히데키
(牧原秀樹)
107,5322위
[10]48.62%비례당선
유효표 수221,147투표율
56.58%
선거인 수397,522

49회 중원선 사이타마현 제5구 개표 결과
정당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격차투표율
후보에다노 유키오
(枝野幸男)
마키하라 히데키
(牧原秀樹)
(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13,615
(51.38%)
107,532
(48.62%)
+ 6,083
(△2.75)
221,147
(56.58%)
사이타마시 니시구49.16%50.84%▼1.6853.92
사이타마시 키타구51.58%48.42%△3.1756.41
사이타마시 오미야구52.52%47.48%△5.0557.45
사이타마시 미누마구 일부50.96%49.04%△1.9153.47
사이타마시 주오구51.66%48.34%△3.3358.55

선거 당시 사이타마 5구 관련 뉴스 영상

현역 의원인 입헌민주당 에다노 유키오 대표와 자민당 마키하라 히데키 의원이 재대결한다.

공산당일본유신회 등 다른 야당들은 에다노 유키오의 지역구 기반이 워낙 탄탄하기에 끝까지 후보를 내지 않았고, 무소속 후보도 출마하지 않아 에다노와 자민당 마키하라의 1대1 대결이 성사되었다.

마키하라 의원은 기타칸토 블록 자민당 비례대표 후보 중 최저 득표율을 거뒀고 낙선자 중 석패율도 가장 낮았다. 다행히 자민당이 기타칸토 지역의 33석 중 29석을 휩쓰는 압승을 거두었고, 낙선자 4명 중 1명이 73세 이상의 고령이라 비례대표 후보로 중복등록을 하지 않았다. 덕분에 자민당 기타칸토 블록 비례대표 당선자 7명 중 3위로 당선되었다.

차기 총선에서도 에다노 유키오의 존재 때문에 기타칸토에서 자민당 지지율이나 석패율이 가장 낮은 선거구가 될것으로 예상되는데, 만약에 자민당이 기타칸토에서 7석 이상 패배할 경우 이전과 달리 마키하라 의원이 석패율 제도를 통해 당선되는것도 매우 어려워진다.

개표 결과, 입헌민주당의 에다노 유키오 대표가 자민당 마키하라 히데키 후보를 누르고 승리해 10선 고지에 올랐다. 하지만 당초 에다노 대표의 낙승이 예상되던 결과에서 두 후보의 득표율차가 3%p 미만일 정도로 격차가 좁혀져 호헌파 야권에 큰 충격을 주었다. 가이에다와 오자와의 지역구 낙선, 간과 에다노의 극적인 생존과 더불어 입헌민주당의 세대교체 필요성을 절실하게 보여준 결과로 손꼽힌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기존 선거구에 포함되어 있던 미누마구의 일부 지역을 완전히 1구로 보내 구 경계 분할을 해소했다.

11선에 도전하는 입헌민주당 에다노 유키오 의원과 6선에 도전하는 자민당 마키하라 히데키 의원의 재대결이 예상된다.

공산당2014년 제47회 중의원 선거에 출마했던 야마모토 유코 전 사이타마현 교직원 조합 부위원장을 공천했다. 양자 구도였던 저번 선거에서 자민당 마키하라 의원이 당시 입헌민주당 에다노 대표와의 격차를 3% 미만까지 줄이며 에다노의 턱밑까지 쫓아왔기 때문에, 공산당 후보의 출마는 큰 변수로 작용할것으로 보인다.


5. 둘러보기[편집]



[1] 중선거구제 시행 당시의 선거구를 얘기한다.[2] 지금의 주오구[3] 추천[4] 추천[5] 추천[6] 추천[7] 추천[8] 추천[9] 추천[10] 추천